지난여름 지구촌은 관측 사상 가장 뜨거웠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온난화와 엘니뇨가 겹치며 나타난 이례적인 고온이 올겨울 극심한 한파의 예고편이라는 우려 섞인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혜윤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여름 더위는 심상치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유럽과 북미에서는 최고 기온이 경신됐고, 폭염 피해와 초대형 산불도 잇따랐습니다. <br /> <br />온난화에 엘니뇨가 겹치며 나타난 현상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여름, 전 세계 평균 기온은 16.77도 <br /> <br />1940년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더웠고, 평년(1990~2020)보다 0.66도나 높았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도 6월부터 8월 여름 더위에 이어 가을이 시작되는 9월 기온도 관측 이후 50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역사상 가장 뜨거웠던 여름이 겨울철 이상 한파를 예고한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기후 전문가들은 북극 해빙, 바다 얼음의 변화에 주목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7월 미 국립해양대기청이 촬영한 북극에는 남한 면적의 70%에 달하는 거대 얼음 구멍이 포착됐습니다. <br /> <br />'폴리냐'러 불리는 얼음 구멍 외에도 북극 얼음 두께도 대부분 1m 이내로 얇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[반기성 /케이웨더 예보센터장 : 북극 해빙이 줄면 태양 빛이 반사되지 않고 바다에 흡수돼 북극 기온이 상승하게 됩니다. 북극 기온이 높아지면 극 제트가 약화해 북극 한기가 중위도 부근까지 남하해 극심한 한파와 폭설이 나타날 확률이 커집니다.] <br /> <br />기상청은 10월부터 낮과 밤의 기온 차가 커지고, 11월부터는 초겨울 추위가 일찍 찾아올 것으로 예보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12월부터는 엘니뇨가 강하게 발달하면서 강추위 속에 예년보다 많은 눈이 내릴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YTN 정혜윤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편집 : 전주영 <br />그래픽 : 홍명화, 기내경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정혜윤 (jh0302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31014042633491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